올해부터 온누리상품권 구매 한도가 늘어나고 항시 1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전통시장 소득공제율이 30%에서 40%로 상향이 되면서 연말정산 시 많은 이득을 챙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알아볼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판매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의 경우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의 가맹점 표시가 있다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가맹점에도 종이(지류)와 카드형 가맹점, 모바일 가맹점이 따로 있으니 사용할 때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곳에서 온누리상품권이 되는지 확인이 어렵다면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혹은 온누리상품권 앱을 통해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미리 사이트나 앱을 통해서 가맹점에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고 방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온누리상품권 구매처는 은행, 모바일, 충전식 카드형이 있습니다. 은행은 16곳에서 직접 방문하여 구매를 할 수 있으며 종이(지류) 형태의 상품권만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의 경우에는 20개의 앱을 통해서 구매를 할 수 있고 충전식 카드형의 경우 8개의 카드사를 통해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류상품권
지류(종이) 상품권의 경우 신한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대구은행, BNK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BNK 경남은행, 수협, 신협, NH 농협은행, 우체국, MG 새마을금고, IBK 기업은행, SH 수협은행, 하나은행에서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농협은행에서는 온누리상품권 구매할 수 있지만 지역농축협(지역 oo 농협)에서는 구매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지류 상품권의 경우에는 총 구매금액의 60% 이상 구매할 경우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로 구매를 할 경우에는 농협 올원뱅크, 경남 투유뱅크, 광주 스마트뱅킹, 대구 IM뱅크, 부산 썸뱅크, 전북 뉴스마트뱅킹, 머니트리,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페이코, 유비페이, 신한은행 SOL, 핀트, 핀크, 제로페이 온, 티머니페이, 제로페이 010, 시럽 스마트월렛, 우리은행 WON, 콕 뱅크를 통해서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충전식 카드형
충전식 카드형의 경우 신한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농협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광주, 우체국), KB 국민카드(국민, 전북)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