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방법 정리

by 인포팟 2023. 4. 6.

서울에서 살고 있다면 받을 수 있는 연간 최대 1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에 대해서 아시나요? 현금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닌 마일리지로 지급되기는 하지만 서울에 산다고 해서 누구나 다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티머니 교통비 지원 신청하기

👉카드사 교통비 지원 신청하기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내용

기본적으로 신청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시여야 하고 나이는 만 19세~24세까지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일 현재 서울에 거주는 하고 있지만 주민등록등본에는 경기도로 나온다면 신청을 할 수가 없습니다. 반드시 등본상 거주지가 서울이어야 합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대중교통은 버스(간선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지선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와 지하철만 해당됩니다.

또한,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신청은 오프라인 신청은 불가능하고 온라인으로만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청을 원할 경우 위의 버튼을 눌러 신청 페이지로 이동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청기간 및 지원금액

서울시 청년 교통비 신청기간은 2023. 3. 28.(화) 10시 ~ 5. 31.(수) 17시까지이며, 지원금액은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 원으로 2023. 1. 1~12. 31에 이용한 교통카드 결제내역을 정산하여, 해당 금액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적립하는 방식입니다.
마일리지 지급은 상반기(`23년 7월), 하반기(`24년 1월)로 나눠 카드사 포인트로 2회 지급이 되고 마일리지 지급 후에는 문자로 개별 안내가 됩니다.

등록가능한 교통카드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은 모든 교통카드가 등록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티머니 선불 교통카드의 경우 삼성페이, 모바일 티머니, 티머니 플레이트 카드가 가능하며, 후불 교통카드의 경우에는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 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KB국민카드, IBK기업은행 BC카드, 하나 BC카드, BC바로카드만 가능합니다.

등록불가능한 교통카드

반대로 등록이 불가능한 것도 있습니다. 아이폰 사용자의 티머니페이 카드번호, 티머니 외 선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카카오, 토스 등이 있으며, 비씨카드 중에서도 불가능한 카드들이 있습니다. 카카오페이, SC제일은행, NH농협카드(BC), 새마을금고, 우체국, 수협, 신협,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등 “등록가능한 교통카드”로 명시되지 않은 모든 카드는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유의사항

먼저,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은 신청자의 명의로 된 교통카드로만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족 카드의 경우에는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마일리지 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둘째, 서울시 거주기간에 대한 제한은 없기 때문에 신청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이라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셋째, 외국인도 서울에 거주하고 신청 대상 연령에 해당이 되고 본인 명의의 카드가 있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넷째,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은 소득이나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기초생활수급자도 신청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사업 중에서 지원금을 받은 이력이 있다면 마일리지 지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