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학사편입과 일반편입의 차이

by 인포팟 2022. 8. 3.

간혹 대학교를 입학하고 나서 현재 대학교가 마음에 들지 않아 편입을 준비하고 계실 겁니다. 편입을 성공한다면 대학입시에서 실수한 것을 만회하고 좀 더 나은 대학교로 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어렵고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편입에는 학사편입과 일반편입이 있으므로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사편입과 일반편입의 차이

우리가 아는 편입에는 두 가지 전형이 있습니다. 바로 학사편입과 일반편입인데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사편입

학사편입의 경우 4년제 혹은 5년제, 6년제 대학을 졸업하거나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를 얻은 다음 가능한 방법으로 학사편입을 하게 되면 3학년으로 편입을 하게 됩니다.

학사편입의 경우 학사학위를 취득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으로 지원율이 낮고 그로 인해 경쟁률 또한 낮습니다. 경쟁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계속해서 언급하는 학사학위를 취득 후 다시 3학년으로 입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정이 남달라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학사편입 조건이 충족된다면 일반편입 조건도 충족하기 때문에 하나만 준비하기보다는 두 가지 방법을 다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편입

일반편입의 경우에는 4년제 대학은 졸업 학점의 2분의 1 이상의 학점을 취득하거나 2년제 혹은 3년제 대학의 경우 졸업 후  3학년으로 편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우리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알고 있는 편입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는 4년제의 경우 2학년을 마쳐야 한다는 점인데 예를 들어 내가 취득한 학점이 68점이고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일반편입 학점 기준이 68점이지만 내가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의 수료학점이 70점이라면 일반편입의 지원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반편입의 단점이라고 한다면 학사편입에 비해 지원조건이 낮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지원을 하기 때문에 경쟁률 또한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유학을 다녀온 학생들이 일반편입으로 많이들 지원하기도 합니다. 또한, 일반편입의 경우 재학생 중 결원이 생겨야 인원을 뽑기 때문에 모집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입 준비

학사편입과 일반편입의 차이를 알아봤다면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전략도 중요합니다. 또한, 자신의 원하는 대학에서 어떤 전형으로 모집하는지도 중요합니다. 대학에 따라서는 일반편입으로만 가능한 곳이 있는가 하며, 어떤 곳은 학사편입으로만 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학사편입을 준비할지, 일반편입을 준비할지 정확한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학사편입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일반편입 조건도 충족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두 전형을 모두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